Surprise Me!

[CEO풍향계] 항공 통합 고비 넘긴 조원태…수소시장 뛰어든 최태원

2020-12-04 0 Dailymotion

[CEO풍향계] 항공 통합 고비 넘긴 조원태…수소시장 뛰어든 최태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 최고경영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는 CEO 풍향계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아시아나항공 인수 첫 고비를 넘긴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수소 시장에 뛰어든 최태원 SK그룹 회장 소식을 이재동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명분과 실리를 다 잡았다'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조 회장과 경영권 다툼 중인 사모펀드 KCGI가 낸 한진칼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으면서인데요.<br /><br />KCGI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를 위한 산업은행의 8,000억 원 규모 한진칼 투자를 반대했던 근본 이유는 산은이 갖게 될 10%대 한진칼 지분 때문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 지분이 조 회장의 편이 돼 경영권을 보장해 주리라는 것이었죠.<br /><br />하지만 법원은 한진칼의 신주 발행이 조 회장의 경영권 방어용이 아니라 경영상 필요에 따른 것이었다고 했고 산은이 조 회장 뜻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약정도 없다며 KCGI의 신청을 기각했습니다.<br /><br />그렇다 해도 세계 7위 항공사 출범을 위해선 당분간은 산은이 조 회장의 우군 역할을 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.<br /><br />경영권 분쟁이 조 회장의 승리로 끝났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죠.<br /><br />KCGI가 주축인 3자 연합이 재반격에 나설지 한 번 지켜보겠습니다.<br /><br />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차세대 먹거리로 친환경 에너지로 급부상 중인 수소를 택했습니다.<br /><br />SK는 최근 전문인력 20여 명으로 수소 사업 전담 조직을 꾸렸는데요.<br /><br />5년 내 대규모 수소 생산능력은 물론, 유통, 공급망까지 갖추는 게 목표입니다.<br /><br />에너지사업으로 몸집을 키워온 SK가 보유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면 가망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부생 수소라고 해서요.<br /><br />석유화학제품 제조 과정 중 나오지만 쓸 곳이 없어 버려지는 수소가 많은데, 이를 활용할 수도 있고 기존의 배터리 사업과도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잘하면 걸음마 단계인 글로벌 수소 산업의 주도권을 쥘 수도 있을 텐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초기 신산업이라 불확실성도, 비용도 크다는 게 부담입니다.<br /><br />최 회장의 승부수가 가져올 결과를 기대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LG유플러스 신임 CEO로 낙점받은 황현식 사장이 첫 조직 개편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신사업과 가입자 만족 부문에선 본인만의 색깔을 드러냈는데요.<br /><br />우선 스마트헬스와 보안, 교육, 광고 담당 조직을 묶어 신사업 분야로 독립시켰습니다.<br /><br />이제 통신사가 스마트폰 팔아 먹고사는 시대는 지났다는 판단이 깔려있습니다.<br /><br />인공지능, 자율주행은 물론, 반려동물에게 원격으로 사료를 주는 IT 기기까지 나오는 게 요즘 통신 시장이죠.<br /><br />자신의 소비자 부문 총괄사장 경험을 살려 5G 기술로 급변하는 미래 통신사업에 공격적 대응을 하겠다는 것이고요.<br /><br />CEO 직속으로 고객서비스 품질혁신센터도 만들었습니다.<br /><br />LG유플러스가 만년 3위를 탈출하려면 고객의 마음을 확실히 잡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구상일 겁니다.<br /><br />어느 업계든 영원한 1위는 없다는 진리를 황 사장이 과연 입증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를 친근하게 부르는 별명이죠.<br /><br />'택진이형'이 택진이형네 주가가 연일 상승세입니다.<br /><br />지난달 프로야구 NC다이노스의 통합 우승 뒤, 선수들보다 더 주목받은 건 바로 김 대표였습니다.<br /><br />전폭적 투자로 창단 9년 만에 우승까지 일궈낸 김 대표의 경영철학이 화제가 됐던 건데요.<br /><br />한 증권사 연구원은 "엔씨소프트는 게임 개발기간과 신작 출시 간격이 긴 편"이라며 "이를 기다려줄 수 있는 중장기 투자 철학이 긍정적"이란 평가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엔씨는 KB증권과 인공지능 간편 투자 증권사 출범계획을 발표해 금융으로도 영역을 넓히고 있고요.<br /><br />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나아가 이름에서 '소프트'를 떼고 '엔씨'로 사명을 바꾸는 것도 검토 중인데요.<br /><br />게임회사 CEO란 상징성에 특유의 친근함을 무기로 한 김 대표의 경영 보폭, 앞으로 더 넓어질 것 같네요.<br /><br />한 헤드헌팅업체가 국내 상위 1,000개 기업 임원 1,600여 명을 조사했더니 서울대·고려대·연세대 출신 CEO 비중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0%를 밑돌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이젠 자신만의 능력과 철학, 시대의 흐름을 읽는 능력이 더 중요해졌다는 얘기겠죠.<br /><br />기업들의 연말 인사철인 요즘 한 번 생각해 볼 만한 점입니다.<br /><br />CEO 풍향계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